🌩️Cloud

Auto Scaling(오토 스케일링) - AWS

코딩베이비 2022. 12. 9. 13:48

Auto Scaling

  • CPU, RAM, 네트워크 트래픽 등 시스템 자원들의 값을 모니터링해서 서버의 크기를 자동조절 해주는 서비스
  • 서버의 부하가 심해져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순간이 왔을 때 서버를 증설하고 연결
  • 반대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줄어들 경우 리소스를 감소시키기도 함(Scale-In)

 

장점

  • Dynamic Scaling(동적 스케일링)
    사용자의 요구 수준에 따라 리소스를 동적으로 스케일링 할 수 있다.
    Scale-Up을 할 수 있는 서버의 수는 무제한이고, 필요에 따라 즉시 scale-up이 가능하다.
  • Load Balancing(로드 밸런싱)
    Auto Scaling과 Load Balancing을 함께 사용하면, 다수의 EC2 인스턴스에게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에 따라 워크로드를 분배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워크로드 관리가 가능하다.
  • Target Tracking(타겟 트래킹)
    사용자는 특정 타겟에 대해서만 Auto Scaling이 가능하고, 사용자가 설정한 타겟에 맞춰 EC2 인스턴스 수를 조절한다.
  • Health Check(헬스 체크)
    Auto Scaling을 통해 EC2 인스턴스의 Health Check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.
    Helath Check 과정에서 문제가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다른 EC2 인스턴스로 교체한다.

 

Auto Scaling 활용

Auto Scaling은 여러 인스턴스와 결합이 가능하지만,

EC2 서버 리소스만 대상으로 할 수 있는 EC2 Auto Scaling에 대해 알아본다.

 

1. Launch Configuration(Launch Template - 시작 구성(템플릿))

  • Auto Scaling으로 인스턴스를 조정하기 전 어떤 서버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단계
  • 사용할 AMI의 ID, 인스턴스 유형, 키 페어, 보안 그룹 등의 정보를 포함시켜서 생성
  • 현재는 Launch Template 사용 권장
  • Launch Template를 통해 템플릿을 구성하면 Launch Configuration과 달리 버전 관리 가능

 

2. Auto Scaling Group 생성

  • EC2 인스턴스들의 그룹
    >> 그룹 내에서 필요에 따라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필요가 없어진 인스턴스는 제거하기 위하는 등, 인스턴스를 조정 및 관리하기 위해 단위로 취급될 수 있게 그룹으로 지정
  •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에 따라 인스턴스의 증감이 그룹 내에서 이루어짐

 


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608/3302

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AWS-%F0%9F%93%9A-EC2-%EC%98%A4%ED%86%A0-%EC%8A%A4%EC%BC%80%EC%9D%BC%EB%A7%81-ELB-%EB%A1%9C%EB%93%9C-%EB%B0%B8%EB%9F%B0%EC%84%9C-%EA%B0%9C%EB%85%90-%EA%B5%AC%EC%B6%95-%EC%84%B8%ED%8C%85-%F0%9F%92%AF-%EC%A0%95%EB%A6%AC

 

[AWS] 📚 Auto Scaling 개념 원리 & 사용 세팅 💯 정리

오토 스케일링 (Auto Scaling)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빠르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을 들 수 있다. 그중, 오토스케일링(Auto Scaling)은 클라우드의

inpa.tistory.com

 

Auto Scaling의 사용 - 생활코딩

기본 흐름 Amazon Web Services Auto Scaling의 기본 흐름은 아래와 같다. 이번 시간에는 아래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Auto Scaling이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본다. 아마

opentutorials.org